공부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에서 이름에서 의도된 것은?

gracedo912 2024. 11. 24. 20:44

지킬 앤 하이드라는 제목을 봤을 때 하이드의 의미는 비교적 쉽게 추측이 가능하다. 영어의 hide(숨기다)와 주인공 "하이드 Hyde"의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머

영어 버젼 원곡들을 듣다보면, 가사에 hide가 나오는 부분들도 많고, 이를 보면 하이드의 이름은 너무나도 명확하게 의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생각을 하다보니 궁금해졌다. 그렇다면 "지킬 Jekyll"도 의도된 것일까?

검색을 하고, 정리를 하다보니 그렇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킬(Jekyll)"이라는 이름에서 의도된 것

지킬(Jekyll)이라는 이름은 작가가 실제 인물을 참고하여 만든 것이라고 한다. 작가인 스티븐슨은 스코틀랜드의 시인 "제임스 지킬 경(Sir James Jekyll)"이라는 인물을 알고 있었고, 그의 성에서 이름을 차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Jekyll"이라는 이름은 “je-kill” 처럼 발음되기도 했는데, 이 발음에서 "kill(죽이다)"라는 소리가 묘하게 연상되는 효과를 주며, 작품의 어두운 주제를 강조하려 했다고 한다. 

 

"하이드(Hyde)"라는 이름의 상징성

"하이드"는 감추어진 또 다른 자아, 즉 본래의 자아인 지킬 박사가 숨기고 싶어 하는 악한 자아를 상징한다. 하이드는 일반 사회에서 용납되지 않는 면모를 가졌으며, 지킬 박사가 대놓고 드러내기 어려운 욕망과 감정을 대변한다. 

지킬이 본래 지킬 박사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자아를 나타낸다면, "하이드(Hyde)"는 그가 숨기고 싶어하는 면모이다. 이는 인간 내면의 이중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작품은 빅토리아 시대의 엄격한 도덕적 가치관 속에서 억눌려 온 인간의 본능을 주제로 하고 있는데, "하이드"는 단순히 숨기고 싶은 자아일 뿐 아니라, 당시 사회에서 용납되지 않았던 본성의 표출이기도 하다.

재미있는 점은, "숨기고 싶어 하는" 부분도 결국엔 자기 자신이라는 것이다. 흔히 지킬은 선이고 하이드는 악인 것처럼 묘사되기도 하지만, 과연 하이드는 지킬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